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 압박에 미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가 눈에 띄게 약화했다. 지난해 미국 수입국 순위에서 7위였던 한국이 올해 들어 10위로 미끄러졌다. <br /> 8일 한국무역협회가 미국 상무부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∼7월까지 미국의 수입 금액별 국가 순위에서 한국은 10위를 차지했다. 이 기간 미국의 한국 수입액은 756억 달러(약 107조7000억원)로, 미국의 전체 수입액 중 3.7% 비율이었다. 같은 시기 한국에 앞선 나라는 멕시코(15.0%)∙캐나다(11.2%)∙중국(9.4%)∙베트남(5.2%)∙대만(4.9%)∙아일랜드(4.6%)∙독일(4.5%)∙일본(4.2%)∙스위스(4.2%)였다. <br /> <br />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기 직전인 지난해 한국의 비중은 4.0%로 7위였는데 올해 10위로 3계단 밀려났다. 이는 무역협회가 관련 자료를 분석하기 시작한 1988년 이후 가장 낮은 순위다. 특히 한국은 2009년부터는 15년간 꾸준히 6∼7위 자리를 지켜왔다. <br /> <br /> 이는 미국의 전면적 관세 정책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한국이 경쟁국보다 크게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. 지난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대만∙아일랜드∙스위스가 올해는 한국을 추월했다. 특히 파운드리(반도체 위탁 생산) 부문에서 한국과 경쟁하는 대만의 순위가 지난해 8위(3.6%)에서 올해 5위(4.9%)로 가파르게 상승했다. <br /> <br /> 대만은 미국과의 관세 협의가 끝나지 않아 임시로 20%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. 하지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는 별도의 품목 관세 대상이라 아직 직접적인 수출 피해가 덜한 편이다. 반면 한국은 대미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∙철강∙기계 등이 직·간접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72458?cloc=dailymotion</a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