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이 상대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는 무역대표부가 4월에 예고한 대로 중국 기업이 운영하거나 소유한 선박에 순 톤당 50달러, 7만 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효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나라 기업이 운영하는 선박이라도 중국에서 건조된 경우 톤 기준 18달러에서 2028년 33달러, 컨테이너 기준 120달러에서 2028년 250달러 중 높은 비용을 입항 수수료로 부과합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이번 조치는 중국의 조선·해운 산업을 견제하고, 미국산 선박 건조를 장려하기 위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앞서 중국도 미국이 4월 예고한 이번 조치에 대한 맞불 차원에서 이날부터 미국 선박에 대해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기업·단체·개인이 25%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 또는 조직이 소유·운영하는 선박, 미국 국기를 단 배, 미국 건조 선박이 중국 항구에 정박하는 경우 순 톤당 8만 원을 부과합니다. <br /> <br />수수료는 2026년 4월 17일부터 순 t당 640위안(약 12만7천 원), 2027년 4월 17일부터는 880위안(약 17만5천 원), 2028년 4월 17일부터는 1,120위안(약 22만3천 원) 등 순서대로 오르게 됩니다. <br /> <br />단,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과 수리를 위해 중국 조선소에 입항하는 빈 선박 등에는 이 같은 수수료가 면제됩니다. <br /> <br />미중의 이번 입항 수수료는 양국 간에 최근 고조되고 있는 신경전과 큰 틀에서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9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 중국에 100%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 수출을 통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조치들은 11월 시행됩니다. <br /> <br />경주에서 31일 개막하는 APEC 정상회의 계기에 미중 정상회담이 열림으로써 양측이 현재의 관세 전쟁의 휴전 상태를 유지하기로 합의할지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희토류 수출 통제와 100% 추가 관세 등의 부과를 유예할지 여부 등도 국제사회의 큰 관심 사안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미국 정부는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한 입항 수수료를 순 톤당 46달러로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현대글로비스와 같은 한국 기업에 상당한 부담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애초 4월에 미국 무역대표부는 미국에 입항하는 외국산 자동차 운반선에 CEU(1CEU는 차 한 대를 운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101500343061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