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조태현 앵커, 조예진 앵커 <br />■ 출연 : 홍정석 변호사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START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캄보디아에 갔다가 연락이 끊겼다는감금 피해 신고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. 정부는 오늘 합동대응팀을 급파하고 가용자원을 모두 동원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홍정석 변호사와 함께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 <br />저는 이번 사태를 보면서 충격적인 것 중 하나가 외교부에서 이 상황의 심각성을 잘 모르고 있었다고 이야기하는 게 좀 충격적이었거든요. 결과적으로는 이런 것들이 대응 같은 것에 미흡한 대응 이런 것을 불러온 것 같아요. <br /> <br />[홍정석] <br />관련 자료들을 보시면 2022년만 해도 이런 실종, 감금 의심 사건이 캄보디아 1건에 불과했었습니다. 23년에 17건 그리고 작년에 220건으로 대폭 증가했는데 아까 앵커님 말씀처럼 외교부에서 이 사태의 심각성을 최근에야 인식하게 됐다. 여기에 대해서 저도 굉장히 놀란 상태고요. 올해는 특히 더 심해서 지금 1월부터 8월까지 외교부에 신고된 신고 건수가 339건에 이르는 상태입니다. 따라서 지금 사태가 굉장히 생각보다 심각성이 높다, 이렇게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추정을 해 보자면 외교부에서 왜 이렇게 사태의 심각성을 그때 깨닫지 못했을까요? <br /> <br />[홍정석] <br />언론이나 이런 것들을 종합해 봤을 때 일단 캄보디아 대사가 지금 공석 상태에 있는 것도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일 것 같고요. 왜냐하면 보고 체계 같은 것들이 대사가 없는 상태에서는 이런 사태가 제대로 보고가 안 됐을 가능성도 있고 우리나라 외교부에 전달이 제대로 안 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뇌진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되지 않을까. 두 번째로는 이런 실종, 감금에 대해서 사실상 인식 자체가 피해자라는 인식도 있지만 공동범죄자들, 그러니까 공범이나 방조범에 해당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범죄자들이 늘어났다, 현지에서. 이러한 인식 때문에 이것이 부각되면 우리나라로서도 좋을 건 없지 않습니까? 따라서 이런 부분도 작용을 해서 이런 사실관계가 제대로 인식되지 않았고 우리 국민들이 알 수 있는 방법도 제대로 없었다, 이런 관점으로 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. <br />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101507321227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