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,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지목하면서 "공정한 대우를 받길 원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돈 500조 원에 달하는 대미 투자 방식을 놓고 양국이 이견을 조율 중인 상황에서 이런 발언을 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조아라 특파원이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한미 관세협상이 막바지 조율에 들어간 가운데,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 대한 입장을 재차 밝혔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더 이상 바보가 아니라며 한국과 일본, 유럽연합을 지목해 공정한 대우를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우리가 바라는 건 공정하게 대우받는 것입니다. '공정하게'라는 것은 미국으로 수천 억 또는 심지어 조 단위 달러가 들어오는 것입니다." <br> <br>한미가 워싱턴에서 두 시간에 걸친 줄다리기 협상을 가졌는데 바로 다음 날 한국을 콕 찍어 메시지를 낸 겁니다. <br> <br>'한국은 대미 투자 금액 3500억 달러, 우리 돈 약 500조 원을 선불로 내야 한다'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강경화 주미 대사도 이날 뉴욕에서 열린 주미대사관 국정감사에서 협상의 가장 큰 장벽은 대미 투자금 실행 방안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강경화 / 주미 대사] <br>"3500억불 투자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해서 미국이 내놓은 입장하고 차이가 있었습니다. 간극을 좁히려고 하는 협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" <br> <br>다만 대두 등에 대한 미국의 농산물 추가 개방 요구는 듣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국내 5개 기업 총수들은 트럼프와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골프 회동을 갖고 측면 지원에 나설 예정입니다. <br> <br>3500억 달러 선불을 고수하는 트럼프를 설득할 수 있을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른 가운데, 오는 29일 트럼프의 방한 전까지 한미 관세협상이 마무리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뉴욕에서 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창종(VJ)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