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약품은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만큼, 세균이 없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를 확인하는 '무균시험' 검사는 보름 가까이 걸렸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검사 기간을 단 하루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시험법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임늘솔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무균시험은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속에 균이 섞여 있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절차입니다. <br /> <br />기존 방식은 배양을 통해 균이 자라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식이라 결과가 나오기까지 2주가량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유효 기간이 짧은 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의약품은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사이 약효가 떨어지거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팀이 기존 14일이 걸리던 검사를 단 하루 만에 끝낼 수 있는 '신속 무균시험법'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, 균에만 달라붙는 단백질을 코팅한 나노입자를 활용해 의약품 속 극미량의 세균을 빠르게 모읍니다. <br /> <br />이후 이번에 개발한 센서가 균의 신호에 빛을 내는 형광 염료로 세균의 존재 여부를 판단합니다. <br /> <br />즉, 균이 자랄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센서를 통해 세균의 존재 여부를 5시간에서 18시간 안에 판별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김하민 /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바이오엔지니어링학과 박사과정생 : 이번 연구 핵심은 세포 치료제 속에 존재하고 있는 극소량의 균을 면역 단백질을 통해서 빠르게 검출을 할 수 있는 기술이고요. 복잡했던 일련의 무균 시험 절차를 임신 진단 장비처럼 간단한 장비로 구현해낼 수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연구팀은 병원 현장에서 환자에게 투여하기 직전 실시간으로 품질을 확인할 수 있게 돼, 맞춤형 치료제의 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성훈 /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: 무균입증이라는 게 세포 치료제뿐만 아니라 의약품, 식품생산, 일상생활에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어디서나 간편하고 자동화된 형태로 무균 입증을 할 수 있는 장치로 발전시켜서 이런 산업에 이바지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곰팡이나 다양한 미생물까지 검출 범위를 넓히고, 바이오테러 대응 등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임늘솔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늘솔 (sonamu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5102110593338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