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봄과 여름에 이어 올가을 역시 이례적인 기상 현상이 기록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16년 만에 우리나라에 태풍 영향조차 없는 해가 될 가능성이 크고, 늦더위와 잦은 가을 호우로 단풍 절정기도 늦춰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우리나라는 여름을 지나 10월 하순까지 단 한 차례도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태풍은 서태평양 일대에서 1년에 25개 정도가 발생해 이 가운데 3개 정도가 우리나라로 북상하는데, 올해는 발생한 태풍 23개 모두 일본이나 중국, 베트남을 향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륙 태풍은 없었지만, 2개의 태풍이 한반도 주변까지 북상해 영향을 미쳤던 지난해와도 차이가 납니다. <br /> <br />특히 가을까지 태풍이 북상하지 않아 1년 내내 태풍 영향이 없었던 해는 과거 1988년과 2009년 단 두 차례뿐으로, 올해 남은 기간 우리나라가 태풍의 영향을 피한다면 1951년 이후 역대 3번째이자 2009년 이후 16년 만에 태풍이 없는 해로 기록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[우진규 / 기상청 통보관·YTN 재난자문위원 : 올해는 여름부터 초가을까지는 더위를 몰고 오는 고기압이 한반도를 뒤덮으면서 태풍의 북상을 막았고, 10월부터는 반대로 북쪽의 찬 공기가 우리나라로 확장하면서 태풍의 북상을 저지하고 있습니다. 통계상으로 보면 11월엔 태풍이 한반도까지 직접 상륙해 영향을 주긴 힘듭니다.] <br /> <br />이례적인 가을 날씨는 단풍 시계에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가을 초반까지 이어진 늦더위와 가을장마는 단풍 전선을 예년보다 크게 늦췄고. <br /> <br />뒤이어 찾아온 추위는 반대로 단풍 확산 속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정 /케이웨더 예보팀장 : 늦더위나 호우는 단풍이 제때 물들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. 최근 찬 공기가 남하하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단풍 전선이 빠르게 확대하고 있어 지역별로 늦은 절정기를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다음 주 또 한차례 추위가 예고된 가운데 강원도에서 늦은 절정기를 맞은 지각 단풍은 앞으로 첫 단풍이 든 내륙으로 확산해 점차 짙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가을이 늦게 찾아온 데다 갑자기 기온이 크게 떨어지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단풍이 제대로 들지 않거나 푸른 잎으로 떨어지는 등 실제 단풍 절정기는 예상보다 더 짧아질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디자인 : 김진호, 정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5102511151027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