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A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포기 후폭풍이 검찰은 물론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검찰 내에선 지휘부를 향해 항소 포기 과정을 제대로 밝히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습니다. <br><br>내부 반발이 이어지자 침묵을 지키던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이틀만에 입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법무부의 의견을 참고했을 뿐, 항소 포기는 서울중앙지검장과 협의한 뒤 자신의 책임 아래 내린 결정이란 겁니다. <br> <br>단순히 검찰 내부의 일이라는 건데, 야권은 정권의 외압, 대통령실의 개입 가능성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. <br><br>오늘의 첫 소식, 송진섭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대장동 사건도 "통상의 중요사건처럼 법무부 의견도 참고했다"며 "항소를 제기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"고 검찰 내부에 알린 겁니다. <br> <br>노 대행은 "저의 책임 아래에 서울중앙지검장과 협의를 거쳐 내린 결정"이라고도 밝혔습니다. <br><br>법무부 측 의견이 있었음을 인정하면서도, 최종 결정은 본인의 결정이라고 선을 그은 겁니다. <br> <br>노 대행이 입장을 낸 지 한 시간 뒤,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도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><br>대검에 "중앙지검의 의견을 설득했지만 관철시키지 못했다"며 "대검 지시를 수용하지만 중앙지검 의견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하려고 사의를 밝혔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항소 포기가 노 대행과의 의견 합치로 결정된 게 아님을 분명히 한 겁니다. <br> <br>정 지검장은 애초 수사팀의 항소 요청을 승인했다가, 대검의 재검토 지시가 내려오자 최종적으로 항소 포기를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정 지검장은 어제 사의 표명도 "이번 상황에 책임 지기 위해서"라고 덧붙였습니다.<br><br>하지만 검찰 내부에선 대검 지휘권 존중을 이유로 정 지검장이 항소장 제출 전결권한을 행사하지 않고 사의 표명으로 책임을 피하려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