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품 위주 면세점의 상품 구성이 한계를 보이면서, 제주 면세업계가 K컬처와 로컬 브랜드를 중심으로 상품 다변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달라진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트렌드에 적응하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 시내 한 면세점. <br /> <br />외국인 관광객이 제주 감귤이 첨가된 드립 커피를 고릅니다. <br /> <br />커피뿐 아니라 제주산 원료로 만드는 주스와 초콜릿, 파이 등 도내 곳곳에 흩어져 있는 유명 베이커리와 카페들의 대표 상품을 면세점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면세점은 최근 늘어난 K컬처와 미식 중심의 여행 흐름을 반영해 제주 디저트 브랜드 6곳을 모아 로컬존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라면과 티셔츠 등 모두 26개의 제주 브랜드를 입점시키며 외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시핑 / 면세점 직원 : 한곳에 다 모여 있어 손님들 구매 가능하고 사기 너무 편해해요. 그래서 사람들이 다 소개해주고 와서 많이 사고 있어요.] <br /> <br />과거 면세점의 간판 역할을 하던 명품 브랜드가 철수한 자리는 MZ 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국내 패션 브랜드가 채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명품에 비해 객단가는 낮지만, K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고객층을 유입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글로벌 신생 패션 브랜드의 팝업스토어를 열어 기존 면세점에서 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쇼핑 경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글로리 / 대만 관광객 : 따로따로 브랜드를 찾아가는 게 아니라 면세점 와서 한 번에 보고 살 수가 있어서 편해요.] <br /> <br />제주 면세업계는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여행객의 쇼핑 트렌드가 신흥 유통채널로 이동하고 중국 단체 관광객과 보따리상까지 크게 줄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지역 브랜드 강화와 경험 중심의 콘텐츠 발굴로 달라진 소비 흐름에 적응하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지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우 kctv (kimmj02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5112200383146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