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민석 국무총리가 계엄에 가담한 공무원들을 조사하는 TF 첫 회의를 주재했습니다. <br> <br>49개 부처도 TF구성과 제보센터 설치를 완료하고, 활동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김 총리, 가급적 신속하게 하라며 조사 과정에서 절제를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어떻게 진행되는지 조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공직자들의 12.3 비상계엄 참여와 협조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'내란 조사 TF'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[김민석 / 국무총리] <br>"원칙과 절제가 중요합니다. 절제하지 못하는 TF 활동과 구성원은 즉각 바로잡겠습니다." <br> <br>김민석 총리는 "조사 대상과 범위, 기간, 언론 노출, 방법 모두 절제돼야 한다"며 "활동은 가급적 신속히 철저하게 비공개로 이뤄져야 한다"고 주문했습니다.<br> <br>실적 경쟁, 휴대전화 조사로 인한 인권 침해 등 일각의 지적을 의식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49개 부처를 상대로 구성된 TF는 전체 인원만 600명이 넘습니다. <br> <br>특히 국방부, 경찰청은 각각 수십 명의 조사단을 꾸렸습니다. <br> <br>비상계엄에 가담했거나 협조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 고강도 조사 의지를 드러낸 겁니다. <br> <br>내부 게시판과 이메일, 전화 등을 이용한 제보센터도 전 부처에 설치됐습니다. <br> <br>TF는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최대한 활동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민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조아라<br /><br /><br />조민기 기자 minki@ichannela.com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