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그렇지 않아도 어려웠던 우리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출과 내수 모두 침체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에 터진 악재라 타격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때 수준의 추가경정 예산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이강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수출액은 256억 달러.<br /><br />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% 줄었고, 17달째 마이너스 행진인데 브렉시트로 인해 더 나빠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전체 수출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유럽연합과 전 세계 무역이 위축될 경우 연쇄 피해는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[김광석 / 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 : 영국은 글로벌 금융 허브라고 해서 국제 금융센터로서 지휘를 많이 하고 있었는데, 영국의 경제위기로 연결되면….]<br /><br />내수 경기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하반기에는 조선과 해운업계를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됩니다.<br /><br />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소비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미 경남지역의 실업률은 치솟았고, 소비지출 통계도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도 어둡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당초 지난해 말 3.1%를 목표로 제시했지만 달성 가능성은 갈수록 희박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하반기에 추경 예산을 얼마나 투입할지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현대경제연구원은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최대 26조 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했습니다.<br /><br />1998년 IMF 사태 때 두 차례에 걸쳐 25조 원, 2009년 금융 위기 당시 28조 원에 버금가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[홍준표 /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할 우려가 있고, 사상 초유의 늪지형 불황이 계속되고, 여기다 더해 브렉시트발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까지 차단하기 위해서 조금 더 많은 추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전문가들은 추경은 단기적인 경기 부양에만 그쳐서는 안 되며, 재정 건전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YTN 이강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62617092309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