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소백산, 오대산, 태백산 등 백두대간의 침엽수들이 집단 고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한반도 중부 지역의 산림 생태계에 큰 변화가 일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승윤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리산, 설악산 등과 함께 한반도 남쪽의 3대 산림 생태계를 자랑하는 오대산 국립공원, 추운 지역에서 잘 자라 지구 온난화의 리트머스 실험지 역할을 하는 침엽수 분비나무가 집단 고사했습니다.<br /><br />백두대간 주능선이 지나가는 오대산 두로봉 정상부터 두로령 사이의 사면 일대는 거대한 분비나무 고사목 전시장이 돼버렸습니다.<br /><br />10~20m 크기의 분비나무는 거의 다 고사하는 등 오대산에서 완전히 죽은 분비나무가 무려 70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나머지 분비나무도 끝가지의 잎이 붉게 타들어가거나 떨어지는 등 죽음의 기색이 역력합니다.<br /><br />온전히 건강한 분비나무가 없는 상황은 태백산도 마찬가지.<br /><br />이미 고사한 분비나무가 절반, 고사가 진행 중인 분비나무가 절반입니다.<br /><br />소백산에서도 분비나무가 집단 고사하는 등 한반도 남쪽 백두대간에서 중요 침엽수림이 떼죽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지리산에선 구상나무가, 설악산에선 분비나무 등이 집단 고사해 백두대간 침엽수림 건강에 빨간불이 들어온 상태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사시사철 침엽수의 잎이 푸른 상태를 유지하는 '아고산대' 산림 생태계가 기후변화로 인해 죽음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[서재철 / 녹색연합 전문위원 : 백두대간 아고산대 침엽수 벨트 전체가 고사, 쇠퇴, 멸종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. 기후변화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. 정부가 아직 정확한 실상을 파악조차 못 하고 있기 때문에 시급히 전수 조사를 비롯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]<br /><br />최근 20여 년 사이 겨울철 평균 기온이 2도 가까이 오른 가운데 백두대간의 산림 생태계에 변화가 찾아오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9260602056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