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접경지대의 민간인 지뢰 사고는 이미 희생자가 발생한 장소 부근에서 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 어제 전해드렸죠.<br />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만든 지뢰 피해지도로 분석해보면,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알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실제로 그런 곳을 조사해 보면 이곳이 지뢰 구역이 맞나 싶을 정도로 방치된 곳이 수두룩했습니다.<br /><br />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양구군 해안면 동편의 둘레길.<br /><br />지뢰 표지와 철조망이 일대가 온통 위험 지역임을 말해줍니다.<br /><br />실제로 길 양편은 과거에 약초나 땔감을 구하러 들어갔다가 민간인 2명이 지뢰를 밟아 숨진 곳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작 수십m를 거슬러 내려온 둘레길 입구엔 철조망이 끊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정인철 / 지뢰 문제 활동가 : 중간에 빨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곳 주민들이나, 혹은 이용하는 분들이 수시로 이용하다 보니까 펜스가 많이 훼손되어 있고….]<br /><br />다시 10m쯤 내려오니 밭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정인철 / 지뢰 문제 활동가 : 원래 여기가 지뢰 지대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게 조망이 전부 수풀에 가려서 안 보이는 것이죠. 이런 밭 같은 경우가 개간하고 들어오면서 지뢰 지대를 잠식해가는 유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]<br /><br />문제의 숲은 과거에 민간인 지뢰 사고가 모두 7건 이상 발생한 미확인 지뢰지대.<br /><br />한쪽은 지뢰 철조망이 처져 있지만, 채소밭으로 연결되는 다른 한쪽은 무방비 상태로 뚫려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지뢰 전문가가 탐지해보니, 대전차 지뢰와 대인 지뢰가 연이어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[김기호 / 한국지뢰제거연구소장 : M2. 살상용 대인지뢰…. 로켓 포탄이 1.5미터 내에서 공중에서 폭발해서 사방 30미터 안의 사람을 살상하는 무서운 지뢰입니다.]<br /><br />YTN이 취재에 들어간 뒤에도, 관할 부대는 지뢰 지대 관리가 부실한 구역이 어디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엉뚱한 답변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[육군 12사단 관계자 : (YTN 제보를 받고) 인원들을 출동시켰을 때 저희 지대, 저희가 관리하고 있는 지대를 확인했을 때는 다 철조망이나 안내 간판이 다 설치되어 있었습니다.]<br /><br />펀치볼 남서쪽 만대리도 1963년과 2002년에 지뢰 사고로 주민이 중상을 입은 야산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지역은 다량의 지뢰가 발견된 위험 지대입니다. <br /><br />이곳이 지뢰 구역임을 보여주는 유일한 표식인 표지판은 녹이 슬대로 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110110560755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