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하야 탄핵의 역사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1 Dailymotion

하야(下野)란 사전적 의미로 시골에 내려간다는 뜻으로, 관직이나 정계에서 물러나는 것을 말합니다. 그러나 실제로는 주로 국가원수가 임기를 마치기 전에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을 뜻합니다.<br /><br />대한민국 건국 후 모두 3명의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가장 먼저 하야 선언을 한 사람은 이승만 초대 대통령입니다.<br /><br />60년 3월 15일 부정선거로 4·19 혁명이 일어난 결과입니다.<br /><br />이승만 대통령은 결국 4월 26일 하야 담화 발표하고 미국 하와이로 떠났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수석 국무위원이었던 허정 외무장관이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는데요.<br /><br />같은 해 6월 국회에서 정부 형태를 대통령제에서 내각책임제로 바꾸는 헌법개정안이 통과됐고 이후 7월 29일 총선을 통해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국무총리의 제2공화국 들어서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 간의 대립 지속 되던 중 1961년 5·16 군사정변이 발생하죠.<br /><br />윤보선 대통령은 군사정변 이후에도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나 군부와 갈등을 빚으며 두 차례 하야를 발표했다 번복하기를 되풀이합니다.<br /><br />결국 1962년 3월 22일 최종 하야 성명 발표한 윤 전 대통령. 이후 권한대행 절차 없이 군정이 이어받아 1963년 대통령 선거를 치르고, 이 선거에서 박정희,윤보선 후보가 맞붙어 박정희 후보가 승리하며 제5대 대통령으로 취임합니다.<br /><br />세 번째로 하야한 대통령은 최규하 전 대통령입니다.<br /><br />1979년 10·26사태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국무총리에서 대통령이 된 최규하 전 대통령은 신군부 세력의 12·12 사태로 실권을 잃어버렸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신군부의 압박으로 1980년 8월 16일 하야 선언하며 역대 최단기 재임 대통령 되는데요.<br /><br />이후 8월 27일 당시 대통령 간선기구인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를 거쳐 전두환 육군 대장이 대통령에 취임합니다.<br /><br />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 제68조 2항은 “대통령이 궐위 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”고 규정돼 있습니다. 만일의 경우 야권 일각의 요구대로 박 대통령이 하야를 결정하고 대한민국 대통령이 공석이 되면 60일 이내에 차기 대통령 선출해야 합니다.<br /><br />후임 대통령이 선출되기 전까지는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국정을 총괄하며 이후 선출되는 대통령은 박 대통령의 잔여임기가 아니라 5년 임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10715001828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