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논란을 빚고 있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에 관한 제3차 실무협상이 내일(14일) 도쿄에서 열릴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만일 이번 협상에서 가서명이 이뤄질 경우 북핵 등 민감한 군사정보를 직접 교환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게 되지만 후폭풍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<br />[기자]<br />군사정보보호협정, 이른바 '지소미아'(GSOMIA)는 협정 체결 당사국들이 군사정보 분야에서 협력한다는 일종의 정보 협력 약속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을 비롯해 NATO 회원국과 러시아, 아랍에미레이트 등 등 24개국과 협정 또는 MOU 형태로 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해 놓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동북아시아 공통의 위협인 북핵 문제와 공동으로 대응해야 하는 일본과는 협정 대신에 지난 2014년 12월 맺은 '정보 공유 약정'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협정보다 낮은 단계인 약정을 맺은 것은 일본의 군사대국화에 대한 우리 국민의 우려와 한미일 안보협력에 대한 중국의 반발을 감안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핵 위협의 실체가 엄존하는 만큼 일본과의 군사정보보호협정을 더 늦출 수 없다는 것이 군 당국의 판단입니다.<br /><br />[문상균 / 국방부 대변인 : 가중되고 있는 북한 핵·미사일 위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한미일 정보 협력에 추가하여 한일 정보 협력 체계도 향상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.]<br /> <br />이 같은 판단은 현재 한국과 일본은 북한 군사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채널이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만일 이번 주 도쿄에서 열리는 3차 실무협의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에 관한 가서명이 이뤄질 경우 북핵 등 공통된 군사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.<br /><br />물론 반발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: 국민과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의사를 무시한 채 계속 논의해 나간다면 야 3당은 국방 장관에 대한 해임 건의도 할 수 있다…]<br /><br />그렇지만 한일간 과거사 문제는 그 문제대로, 당장 현실적인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책은 별도로 그것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재반론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11314041629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