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본격적인 김장철인 데도 생강 값이 폭락해 재배농민들이 시름에 잠겼습니다.<br /><br />작황이 좋은 데다 재배 농가와 면적이 크게 늘었기 때문인데, 이제는 정확한 적정 재배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예년 같으면 작업이 끝났어야 할 생강밭에서 수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손을 구하기 쉽지 않고 인건비조차 건지기 어려울 정도로 생강값이 폭락했지만, 밭에 그냥 버리기는 아까워 수확에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요즘 생강값은 20㎏ 기준으로 산지 평균 2만 원에서 2만2천 원 선.<br /><br />1년 전 8만 원대와 비교하면 1/5 수준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충남 서산 일대에서만 수확을 포기한 생강밭이 수십 곳에 이릅니다.<br /><br />[안영원 / 부석생강생산연합회장 : 인건비가 하도 비싸니까 수확해도 인건비도 안 나오는 농가들은 전부 다 밭에서 전부 로터리로 전부 다 없애 버렸어요. 그래서 안타까운 상태이지요.]<br /><br />이처럼 생강 가격이 폭락한 것은 올해 작황이 좋은 데다 재배 면적이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생강 주산지 서산의 경우 생강재배 농가는 440여 가구에 면적만 310h로 지난해 350여 가구, 260ha에 비해 각각 25.7%와 19.2%씩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여기 에다 작황 상태가 좋아 수확량은 올해 6천여 톤에 이를 것으로 보여 1년 전 4천5백 톤에 비해 33.3%나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생강 가격 폭락을 막기 위해 정부가 전국적으로 생강 8백여 톤을 폐기할 계획이나 중국산 생강 유입 등으로 실효를 거둘지 의문입니다.<br /><br />전국 생강 재배농가와 면적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농업관측 정보 제공 등을 통한 적정재배 면적유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[정태민 / 서산 부석농협 상무 : 마늘이나 양파는 수급 조절을 파악하고 있는데 생강은 아직 그런 부분에 대해서 안 하고 있습니다. 정책적으로 수급조절 사업해야 할 시기가 오지 않았나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지난해 가격이 좋아 짭짤한 재미를 봤던 생강 재배농민들이 올해는 가격폭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산물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12702250770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