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AI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됐지만, 피해가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조사해보니 이번 AI는 발생 초기 며칠 동안 주변 농가로 급격히 전파된 사실이 드러났는데요.<br /><br />가뜩이나 확산 속도가 빠른 이번 AI 바이러스가 날씨가 추워지면서 더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함형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전방위로 확산할 기세인 이번 AI는 그 전파 양상이 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됩니다.<br /><br />발생 후 1달 동안의 추이를 2014년, 2015년과 비교해보면, 올해는 확산 속도와 범위가 가장 빠르고 광범위했습니다.<br /><br />초기 AI 집중 발생 지점도 충북과 수도권으로 북상했습니다.<br /><br />초동 대응 실패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는 지적도 쏟아지지만, 정부는 여전히 다른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재수 / 농림식품축산부 장관 : 수평적인 전파를 방지하는데는 나름대로 정부의 조치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본 것이 아니냐는 판단을 죽 하고 있었는데, 지금 상황에서는 철새 도래지 중심으로 확대되고….]<br />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대표적인 AI 피해 지역 중 한 곳인 충북 음성군의 감염 농가를 추적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17일부터 1주일 동안 남서쪽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감염이 확산했고, 이후 북쪽과 남쪽으로 피해 범위가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AI 집중 발생 지점의 3㎞ 반경에는 농가 72개가 밀집해, 닭 100여만 마리와 오리 60여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축산 농가의 밀도가 높다보니, 철새 외에 사람이나 차량의 이동을 통한 전파 위험도 그만큼 컸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이 2014년부터 2년여 동안 AI 확산 경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, 18.6%만이 철새에 의해 퍼진데 반해, 57.5%는 사람과 차량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부작용과 비용 문제 등을 들며, AI 백신 접종을 꺼리고 있지만, 백신을 배제한 기존의 방역과 소독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도 끊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[서상희 /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: 중국이나 동남아 경우는 2004년부터 AI 백신을 접종함에도 불구하고, 사람에게 잘 감염할 수 있는 변종 바이러스가 생긴 적이 없습니다.그래서 국내도 AI 백신을 도입하면 지금의 사태를 많이 진정시킬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본격적인 겨울 날씨로 접어들면서 바이러스 생존율은 높아지고, 가금류의 면역력은 떨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21701065275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