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확진이 잇따르는 가운데 정부는 철새도래지가 밀집된 '서해안벨트' 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2개의 바이러스 유형이 검출된데다, 산란계 농장에서의 확진도 이어지고 있어 피해가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홍상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겨울 국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, AI는 지난해보다 한 달 이상 늦게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11월 27일 야생조류에서 AI가 검출된 데 이어 지난 4일 전남 고흥군의 오리농장에서 첫 확진 사례가 나온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가금농장 첫 발생 이후 13일 만에 발생 건수가 20건을 넘어서면서 확산 속도는 예년보다 더 빠른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두 개의 바이러스 유형(H5N1·H5N6)이 검출되면서 3천7백여 마리를 매몰처분 한 2016년의 피해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이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이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정황근 / 고병원성 AI 중앙사고수습본부장 (지난 14일) : 과거 사례를 보면 이 (바이러스 유형) 두 가지가 발생을 하게 되면 피해가 상당히 심했습니다. H5N6형은 감염이 돼도 발현 자체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상당히 그 사이에 전염시킬 가능성이 많은 거죠.] <br /> <br />산란계 농장에서의 확진이 늘고 있는 것도 큰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겨울 철새 도래지와 가금 농장이 밀집한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AI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'전남, 충남, 경기 지역 등' 서해안벨트로의 확산 차단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용상 / 농림축산식품부 조류인플루엔자방역과장 : 산란계 밀집단지 10개소 대규모 산란 농가, 10만 수 이상 농가 등에 대한 방역 관리를 집중하고 있고요. 예찰 검사를 대폭 확대하고 철새 도래지 주변 농가 등 위험농가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소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예년 사례로 봤을 때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세가 가장 두드러졌던 건 1월과 2월입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농장에 출입하는 모든 차량의 소독과 축사에 들어가기 전 장화 갈아신기 등 방역 수칙을 지키고, 의심 증상이 보일 경우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상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지연 <br />그래픽 : 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2223204858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