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생전퇴위를 희망한 아키히토 일왕은 평화헌법 지지, 전쟁 사과 등 아베 총리와는 결이 다른 행보를 보여왔는데요.<br /><br />최근 아베 총리와 가까운 보수 인사들의 발언이 알려지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<br /><br />도쿄에서 황보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사]<br />지난해 8월 아키히토 일왕은 돌연 스스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아키히토 / 일왕 : 점차 신체가 쇠약해지는 것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처럼 온 힘과 온 마음을 다해 국가 상징의 임무를 다하는 것이 어렵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잇따른 해외 순방과 동일본 대지진 피해지 방문 등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몸이 쇠약해져 더 이상 공무를 볼 수 없게 됐다는 게 이유였습니다.<br /><br />일왕이 사망한 뒤 후계자가 그 자리에 오르는 게 일반적인 만큼 생전퇴위에 대해선 아무 규정이 없어 아베 총리는 곧바로 사적인 자문기구를 만들어 이를 논의하게 했습니다.<br /><br />자문위원들은 대부분 아베 총리와 가까운 보수 인사들.<br /><br />그런데 논의 과정에서 "일왕은 제사에서 기도하는 데 의미가 있을 뿐 그것 말고 무슨 역할이 있는가"라는 발언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또 앞으로 궁중 제사만 계속하면 굳이 퇴위할 필요도 없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언론 보도를 통해 이같이 사실이 알려지자 일왕 측은 발끈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그간 일왕이 국내외를 다니며 한 일을 기억하지 못하느냐며 강한 불만을 제기했습니다.<br /><br />공무를 부정한 데 대해 일왕이 충격을 받았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평화헌법 수호와 평화헌법 개정 과거 전쟁 사과와 과거 역사 부정 등 일왕과 아베는 주요 대목에서 입장이 갈려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전 퇴위를 두고도 충분히 논의해 달라는 일왕과 속전속결로 해야 한다는 아베 총리 사이에 간극이 컸는데 결국 아베 총리의 뜻이 관철되면서 새로운 규정은 이제 국회 통과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YTN 황보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52200270568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