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<br /><br />[앵커] <br />비가 한번 내렸다 하면 이렇게 폭우가 되는 양상. 최근 몇 년째 계속되고 있습니다. 근본적으로라면 지구 온난화로 기후변화가 일어나는 것이고 조금 더 가까이 가면 엘니뇨, 라니냐라는 이런 현상이라고 합니다. <br /><br />엘니뇨, 라니냐는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적도 부근의 엘니뇨는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고요. 라니냐는 거꾸로 해수면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. 그러면서 이것이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동태평양 적도 부근에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거꾸로의 현상인 것이죠.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님,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지금 이 폭우는 라니냐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서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일단 지난 2년 동안 우리나라가 여름 장마가 없었지 않습니까? 여름 더위도 그렇게 심하지 않았고요.<br /><br />이게 엘니뇨 영향이었거든요. 그런데 2년 동안 위세를 떨치던 엘니뇨가 물러갔습니다. 그러면서 올 여름부터는 모든 엘니뇨 예측 기관들은 다 라니냐로 변해갈 것이라고 이렇게 예상하고 있고요. <br /><br />그러니까 현재는 라니냐로 진행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고요. 이렇게 엘니뇨가 끝나다 보니까 3년 만에 장마다운 장마가 온 것이고 또 무더위도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라니냐가 어떻게 해서 이런 폭우를 불러오는 것이고 또 어떤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 겁니까, 라니냐로 인해서. 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일단 엘니뇨를 먼저 설명을 드리면 엘니뇨는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균보다 높아지는 경우죠. 그러면서 점차 적도 부근의 바람이라든가 기압대가 다 바뀌어버립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원래 인도네시아라든가 동남아 지역으로는 평상시에는 이쪽이 저기압이 위치해 있거든요. 그래서 많은 우기, 비가 오는데 엘니뇨일 때는 거꾸로 이쪽에 고기압이 위치해 버려요.<br /><br />그러니까 비가 많이 오는 동남아 지역이나 인도네시아쪽에는 비가 거의 오지 않습니다. 그러다 보니까 엘니뇨가 있을 때에는 이 동남아시아라든가 인도라든가 이런 호주는 굉장히 극심한 가뭄 또 폭염 이런 것들이 들어가고요. <br /><br />오히려 굉장히 가물었던 남미나 중미는 거꾸로 이쪽이 저기압이 되니까 많은 비가 내려요. 폭우가 내립니다.<br /><br />그러다가 엘니뇨가 끝나고 나면 정상으로 돌아오면 좋은데 어떻게 보면 반동 작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6070514013175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