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작심삼일이라고 하죠? 신년 들어 재테크 계획 세웠던 분들 많을 텐데요.<br /><br />지금쯤 꽤 많은 분들이 당초 결심과 달리 계획에서 멀리 벗어나고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.<br /><br />(저만 그런 건가요?) 그래서 오늘 이 시간엔 재테크의 대표선수라고 할 수 있는 '적금'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. 적금에도 기술이 존재한다고 하는데요,<br /><br />정철진 경제 컬럼니스트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서, 우리가 그냥 재테크 재테크 하는데요, 실제 이게 뭔지 말하려고 하면 말문이 막힙니다. 그냥 돈 많이 버는 방법이라고 이해하면 되나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. 재테크라는 건 재(財) 와 테크(technology)의 합성어인데요, 부를 축적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<br /><br />눈치채셨겠지만, 이 용어 자체는 일본에서 들어온 겁니다. 일본에서는 1980년대 후반 ‘財テク(자이테쿠)'라는 말이 널리 쓰였는데, 이게 우리나라에서 재테크란 말로 정착된 겁니다.<br /><br />다만, 이 때 중요한 포인트가 있는데요. 재테크는 돈을 버는 게 아니라, 돈을 모으는 기술이라는 겁니다. '벌다'와 '모으다'의 차이인데요.<br /><br />즉, 재테크는 돈을 효과적으로 잘 모으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런데 보통 우리들은 재테크 방법이 워낙 다양하고 어려워서 번번이 실패하게 된다, 이런 말 많이 하는데요, 여기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정확히 맞지는 않습니다. 보통 재테크라고 하면 크게 3가지를 말하는 데요, 절약, 저축, 투자입니다.<br /><br />효과성으론 절약이 최고입니다. 한 달에 100만 원 쓰는 걸 50만 원으로 줄이면 월 50% 수익률이 발생하니까요.<br /><br />저축과 투자의 차이점은 원금보장 여부입니다. 저축은 이자율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본인의 원금을 지킬 수 있고, 반면 투자는 고수익을 추구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높은 원금 손실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종종 재테크 방법이 너무 많아서 헷갈린다고 하지만, 개념적으로 그리 많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저축에서는 예금과 적금이 있고요, 투자로 가면 주식, 부동산, 채권, 실물, 파생상품 투자 정도 거든요. <br /><br />이렇게 개념 정리를 하고 접근하시면 재테크가 가깝게 느껴질 것 같은데요, 오늘은 재테크의 기본인 저축에서, 다시 또 기본 중 기본은 적금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적금, 그냥 은행 가서 가입하고 매달 열심히 부으면 되는 거 아닙니까?<br /><br />[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11016003867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