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보이는 조치에 한국산 화장품까지 포함되면서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업계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중국은 최근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 무더기로 수입 금지조치를 내렸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%가 넘는 압도적인 1위로 사드 관련 보복성 기조를 강화하면서 자국 산업 육성 정책도 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업체들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면서 새로운 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요즘 주목도가 부쩍 높아진 해외시장은 중동입니다.<br /><br />직장 여성이 늘고 생활 방식의 서구화가 진행되면서 중동의 화장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180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360억 달러로 5년간 두 배 정도 커져 연평균 15%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1일 중동 최대 유통기업 알사야그룹과 파트너 계약을 맺고 하반기 아랍에미리트에 매장을 여는 데 이어 쿠웨이트, 사우디아라비아, 카타르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2006년에 요르단을 시작으로 중동에 진출한 LG생활건강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6개국에서 64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카타르 등으로 점유율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입니다.<br /><br />미국 시장도 공략 대상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우리의 화장품 수출 비중은 7%에 불과하지만, 수입은 가장 많은 나라입니다.<br /><br />한국콜마는 지난해 9월 미국의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 ODM 업체를 공동인수했고 11월에는 캐나다 ODM 업체를 사들이는 계약을 체결했으며, 아모레퍼시픽은 중저가 브랜드의 진출을 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프랑스에 판매법인과 생산법인을 두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은 향수 제품으로 프랑스 시장도 공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성호[sh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11404164065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