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립중앙박물관 안으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거대한 건축물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보 제86호로 지정된 경천사지십층석탑인데요.<br /><br />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석탑이 있던 곳은 고려시대의 사찰 경천사.<br /><br />그런데 경천사는 지금은 갈 수 없는 개성에 위치한 절이라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개성에 있던 석탑이 왜 이곳까지 오게 된 것일까요?<br /><br />1904년 32살의 영국 청년 베델이 우리나라에 발을 내딪습니다.<br /><br />기자였던 그는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한국에 왔지만 일제의 만행을 목격한 후 신문사를 사임하고 한국의 주권회복을 위해 애쓰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'코리아 데일리 뉴스'와 '대한매일신보'를 창간해 일제의 만행을 국내외에 알리던 베델.<br /><br />어느날 심상치않은 소문을 듣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일본인 다나카가 경천사에 있는 석탑을 일본으로 빼돌린 것이지요.<br /><br />베델은 다나카의 만행을[코리아 데일리 뉴스]에 기사로 실었고 국내외의 수많은 독자들이 다나카의 만행을 알게됩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이를 못마땅히 여겼던 일본은 베델의 송환을 영국에 요구했고 베델은 영국정부로부터 근신형을 받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베델이 뜻을 굽히지 않자 일제의 탄압은 심해졌고 격무와 소송에 지쳐가던 베델은 결국 서른 일곱의 나이로 생을 마감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베델의 헌신이 헛되지 않았던 것일까요?<br /><br />베델을 통해 알려진 경천사지십층석탑은 전세계인과 심지어 일본사람들의 반발마저 이끌어냈고 1918년 일본은 마침내 석탑을 경복궁으로 보냅고 맙니다.<br /><br />해방 후 우리 정부는 베델의 업적을 기려 건국훈장을 수여했는데요.<br /><br />그 후 석탑은 보존과 복원을 거쳐 지금의 국립중앙박물관에 남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이역만리 타국에서 목숨을 다해 불의에 맞선 언론인, 베델.<br /><br />경천사지십층석탑은 한국을 향한 베델의 사랑과 헌신이 담긴 소중한 유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84_2017012308573535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