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때 국내 1위, 세계 7위의 해운선사였던 한진해운이 설립 40년 만에 결국 파산했습니다.<br /><br />비싼 선박 사용료와 저가 운임 경쟁, 그리고 경기 침체의 파도를 넘지 못한 건데 앞으로도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.<br /><br />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2달여 전 여의도에서 옮겨온 한진해운 사무실입니다.<br /><br />천4백 명이 넘었던 직원은 온데간데없고, 불과 50여 명만 남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제는 법원의 파산 선고로 회사 간판까지 아예 내리게 됐습니다.<br /><br />[김진한 / 한진해운 파산관재인(변호사) : 직원분들 되게 안타깝죠. 파산재단이라는 것이 회사가 없어지는 마지막 단계의 업무를 하는 분들인데 사기도 떨어질 것이고….]<br /><br />국내 해운업을 이끌던 한진해운이 설립 40년 만에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당장 한진해운과 거래한 중소 협력업체와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은 상당 금액을 떼일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현재까지 신고된 채권액만 30조 원이 넘지만, 한진해운에 남은 자산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은 직원들 역시 망연자실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업계가 추정하는 실업자는 전국적으로 만여 명, 지역 경제도 충격에서 비켜 가진 못했습니다.<br /><br />[공인중개사 / 부산시 중앙동 : 한진(해운) 사태가 터지기 전부터 공실이 조금 있었는데 해운 관련이 조금 빠지고 있는 편이고 전반적으로 그렇습니다.]<br /><br />현대상선과 SM상선 등 살아남은 업체들이 맞닥뜨릴 여건도 호락호락하지는 않습니다.<br /><br />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로 한국 업체에 대한 불신은 커졌고, 컨테이너 수송 능력은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규모를 앞세운 해외 대형선사들의 운임 경쟁과 경기 침체도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뒤늦게 몇 년 안에 100만 TEU 수준으로 수송 능력을 다시 키우기 위해 선박 확보 지원 등 6조 5천억 원 규모의 해운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진해운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선 세계 물류시장을 예측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강진원[jinw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1722010754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