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제주 동부해안이 해마다 구멍갈파래로 뒤덮여 몸살을 앓고 있지만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는 오리무중입니다.<br /><br />제주도와 국립기관이 공동으로 원인 찾기에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KCTV 뉴스 조승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귀포시 성산읍에서 제주시 조천읍까지 동부해안 전반에 걸쳐 넓게 퍼져 있는 구멍갈파래.<br /><br />미관을 해치고 악취를 풍길 뿐만 아니라 다른 해조류 성장까지 방해하며 골칫거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파래 대량 발생에 대해 온난화 현상 또는 방파제 같은 구조물로 바닷물 순환이 차단됐기 때문이라는 등 의견이 분분했지만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바닷물에 과다하게 포함돼 있는 질소 성분이 파래 대량 번식을 일으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구멍갈파래는 바닷물 질소 함량이 30 마이크로 몰 이상이면 대량 발생하는데 성산읍 신양 해수욕장에 솟아나는 지하수 질소 농도는 295, 양식장 배출 수는 95 마이크로 몰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질소가 과다하게 유입되며 구멍갈파래 발생과 성장을 돕고 있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[송영철 /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 연구사 : (파래 대량 발생 원인이) 한 가지만이 아니고 여러 가지인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영향을 주는 게 용천수라고 보시면 됩니다. 용천수에는 질소 농도가 높은데 질소가 구멍갈파래 먹이가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농경지에 뿌리는 비료나 축산 분뇨가 질소 유입 원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이 없는 제주의 지리적 특성도 이 같은 추정에 무게를 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규범 /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: 제주에는 강이 없으므로 지하수가 해양으로 많이 유출되면서 해양에 영양 염을 증가시키고 녹조로 연결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.]<br /><br />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인천대, 국립환경과학원과 공동으로 질소 유입 경로를 추적해 오는 12월쯤 결과를 내놓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제주 바다의 오랜 골칫거리인 구멍갈파래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가 될지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KCTV 뉴스 조승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61710523613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