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는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운 참전유공자들을 예우하기 위해 한 달에 22만 원의 참전 명예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비해 예우가 턱없이 못 미쳤다는 지적을 문제는 받아왔는데요, 정부가 명예수당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현재 국가보훈처에 등록된 6·25 참전유공자는 12만 2천여 명.<br /><br />베트남전쟁 참전용사까지 더하면 참전유공자는 26만3천여 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지난 2000년 생계곤란자에 한해 6만5천 원씩 지급하던 참전 명예수당은 이후 모든 참전용사들로 확대됐고, 수당도 22만 원으로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참전용사들의 희생에 비해 국가의 예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도 6·25 67주년을 맞아 열린 참전용사 위로연에서 이 부분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그제, 참전 유공자 위로연) : 최고의 성의를 가지고 보훈으로 보답하겠습니다. 참전 명예수당과 의료, 복지, 안장 시설 확충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기본적인 도리입니다.]<br /><br />국가 보훈처는 이에 따라 참전 용사들의 명예수당을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정치권에도 관련법 개정 등 비슷한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성일종 / 자유한국당 의원 : 국가를 위해 전쟁터에 나가 목숨을 걸고 싸운 참전유공자들의 명예수당이 이등병 월급 수준에도 못 미친다고 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부끄러운 일입니다.]<br /><br />참전 용사의 평균 연령이 80대인 점과 기초 생활 수준 이하의 참전용사가 적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면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.<br /><br />정부 지원과는 별도로 각 자치단체에서 지급하는 참전 수당도 다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자치 단체별 상황에 따라 많게는 한 달에 20만 원부터 적게는 5만 원까지 액수도 제각각이라 형평성에도 문제가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내년에 이등병 월급이 참전 유공자 수당보다 많은 30만6천 원으로 대폭 인상되면서 참전용사들의 명예수당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선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62505555366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