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'캠프 험프리스'로 불리는 평택 미군기지는 한반도 유사시 뿐만 아니라 아태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미군의 증원 전력을 신속히 파견할 수 있는 허브 기지 역할을 하게 됩니다.<br /><br />평택 미군기지가 갖는 전략적 중요성을 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03년 미국은 이른바 GPR(Global Defense Posture Review) 전략에 따라 해외주둔 미군기지의 재배치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전략적 유연성, 즉 필요한 곳에 군사력을 신속히 배치한다는 미군의 21세기 군사전략의 하나였습니다.<br /><br />재배치 구성 방식은 공항을 뜻하는 에어포트(airport)와 항구를 뜻하는 시포트(seaport)가 서로 연계된 이른바 '투 포트(Two Port)' 시스템에 따라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평택기지 인근에는 오산 공군기지와 평택항이 있어 이런 미군의 군사전략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한미군이 대구와 부산을 두 축으로 하는 또 다른 영구적 주둔지를 구성하려는 것도 같은 전략개념입니다.<br /><br />한반도 유사시 증원되는 미군의 배치가 쉽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윤지원 / 평택대교수 : 한미동맹 차원에서는 한반도 유사시 대비하는 것이 있겠고, 그리고 WMD와 테러 등 비대칭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 전략적 유연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추진되는 겁니다.]<br /><br />원유 운송로인 말라카 해협과 대만해협에서 위기가 발생했을 경우 평택의 미군 전력을 해외로 신속히 보낼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평택기지가 북한의 300㎜ 방사포 등 주요 무기체계의 타격권 내에 있다는 것은 단점입니다.<br /><br />미군 측은 이에 따라 평택기지에 패트리엇 미사일을 증강 배치하는 등 대비 체계도 확대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71119094845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