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, 어제부터 4박 5일 휴가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주말 포함하면 일주일 가량 쉬는 셈입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엔 취임하자마자 연차 휴가를 사용하며 한결같이 휴가 사용을 독려해왔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 참모진들도 문 대통령과 결을 같이 합니다.<br /><br />박수현 대변인, 임종석 비서실장,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등도 대통령과 휴가를 비슷하게 맞췄다고 하고요.<br /><br />이정도 총무 비서관은 "수석급 이상은 국내에서 휴가를 보내기 바란다"는 특별 주문까지 곁들여, '휴가 권하는 청와대'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문제는 '시기'입니다.<br /><br />지난 금요일 밤, 북한 ICBM도발로 안보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과연 대통령의 휴가가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립니다.<br /><br />야권을 비롯한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위기 상황에 안이하게 대응한다며 비판을 쏟아냈는데요.<br /><br />청와대는 대통령이 휴가를 취소하면 국민이 더 불안감을 느낄 것이라며, 안보 관련 동향은 수시로 보고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강원 평창에 들렀다가 경남 진해에 있는 군 휴양지에 머물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이곳이 "긴급한 상황을 신속히 보고받고 군 통수권자로서의 지휘권을 행사하는 데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마음 무거운 휴가는 역대 대통령들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일종의 '휴가 징크스'인 셈인데요, 간단히 짚어볼까요?<br /><br />휴가 복 없는 대통령 하면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2004년 탄핵사태, 2006년엔 태풍, 2007년엔 우리 국민의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으로, 임기 5년 동안 3번의 휴가를 가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즐겨 찾던 '저도'에서 꿀맛 같은 휴가를 보냈지만, 2014년엔 세월호 참사로, 이듬해에는 메르스 사태로 휴가를 관저에서 보냈고요.<br /><br />이명박 전 대통령, 2011년엔 휴가를 미루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기록적인 폭우로 강남역이 잠기고 우면산이 무너져 내려 민심 수습이 먼저라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.<br /><br />청남대에서 쉬는 걸 좋아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98년, IMF 충격으로 여름 휴가를 아예 잡지 않았고요.<br /><br />임기 말에는 세 아들이 비리에 연루돼 관저에서 조용히 휴가를 보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도 이 징크스를 피해가지 못했지만,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73118015924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