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경남 하동군이 전통적인 방식의 차 농업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 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데요,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세계 식량 농업기구 평가위원단이 하동을 방문해 현장 실사를 벌였는데, 하동 차가 다음 달 결정될 농업유산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오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바위, 유실수와 어우러져 자라는 녹차.<br /><br />자연 친화적인 하동 야생 녹차 밭의 특징입니다.<br /><br />온 천지가 푸른 이곳에 낯선 외국인들이 찾아 여기저기를 세밀히 살펴봅니다.<br /><br />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기록해 올릴지 여부를 심사하는 세계 식량 농업기구, FAO 평가위원단입니다.<br /><br />녹차 밭의 생태와 주변 경관 등을 둘러보며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민칭웬 / 세계 식량 농업기구 과학자문그룹 부위원장 : 하동의 차 농업 방식은 여러 가지 자연 생태가 잘 보전됐고 세계적인 세계농업유산 시스템에 잘 부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녹차 밭의 농업 방식뿐만 아니라 전통 수제 차를 만드는 과정인 '제다'도 평가 대상입니다.<br /><br />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300도가 넘는 무쇠솥에서 찻잎을 볶는 '덖음'부터, 깊은 향이 우러나오게 하기 위한 '비비기'까지.<br /><br />명품 차가 탄생하기까지 여러 번 정성스럽게 덖고 비비기를 반복하는 자체도 농업 유산에 포함됩니다.<br /><br />천2백 년의 전통을 지켜온 '하동 전통차'의 모든 것을 보고 그 가치를 꼼꼼히 따져보는 겁니다.<br /><br />[윤상기 / 하동군수 : 하동군은 1,200년 야생차 역사가 있음에도 전혀 준비가 없었습니다. 작년부터 세계농업유산 등재 준비를…]<br /><br />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는 이번 현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달 세계 식량 농업기구 정기회의에서 결정됩니다.<br /><br />세계중요농업유산은 15개국 36곳.<br /><br />하동 전통차 농업이 인증을 받으면 국내에는 제주도 돌담 밭과 완도군 청산도 구들장 논에 이어 세 번째가 됩니다.<br /><br />하동 전통차 농업이 세계중요농업유산에 올라 그 가치를 세계에 알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오태인[otaei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80319351861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