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<br /><br />[앵커] <br />강화된 대북 제재 결의안에 대해서 북한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도 관심인데요. 김주환 YTN 정치안보 전문기자와 함께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<br />[앵커] <br />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습니다. 의견이 다 모이기까지 걸린 시간도 길지 않기 때문에 이번에는 좀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겠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보리 이사국이 15개 나라입니다. 그런데 사실 결의안이 만들어지려면 상임이사국에다 플러스 4개 나라, 9개 나라만 동의하면 결의안이 채택이 되죠. <br /><br />그런데 지금 만장일치라고 말씀하셨지 않습니까? 과거에는 최소 58일, 팔십 며칠 이렇게 걸렸는데 지난달 4일날 화성-14형을 발사한 후 초안을 준비를 했죠. <br /><br />초안을 준비했다가 28일날 2차 실험을 하고 분위기가 굉장히 급반전돼서 화성-14형 2차 발사 이후로 따지면 딱 일주일 만에 표결 절차가 돼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는데 이 부분 역시 의미가 굉장히 크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는 거죠. 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 안에서, 찬성한 국가 중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을 눈여겨볼 수밖에 없을 텐데요. 이번에는 상당히 이른 시간 안에 동의해 준 거 아닙니까? <br />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처음에는 지난달 초까지는 반대를 했죠. 그런데 그 과정이 있었던 것 같아요. 미국이 굉장히 강하게 압박을 했죠. <br /><br />여러 가지 중국을 상대로 무역 문제라든가 이런 부분에 있어서 강하게 압박을 했기 때문에 중국이 계산을 했겠죠. 당장에 어느 게 손익이 큰 것이냐. 북한이야 나중에 어루만져주면 괜찮다라는 계산을 했을 가능성이 크고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일단 미국 손을 들어준 건가요? <br />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일단 미국 손을 들어줬는데 과거 보면 이란 제재안 통과할 때 2010년도에 이란 제재안을 할 때 과정이 비슷합니다. <br /><br />그 과정을 말씀드리는 이유는 그때 역설적으로 우리가 천안함 폭침 때문에 46명이 희생이 됐어요. 그러면 결의안이 그때 채택이 안 된 겁니다. <br /><br />역설적으로 이란이 중하다고 본 거고 지금은 미국과 중국이 북한 문제가 굉장히 위중하다. <br /><br />다시 말씀드리면 안보리 5개국 중에 어느 특정 국가 하나라도 거부권을 행사하면 결의안이 채택이 안 되는 상황이 되는데 이것이 만장일치로 됐다는 건 미국과 중국, 러시아 등 국제 사회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굉장히 심각하다라는 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80618130681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