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인증부터 검사까지...친환경 달걀 체계 부실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이번 살충제 달걀 사태와 관련해 일반 달걀보다는 값비싼 친환경 인증 달걀이 부적합 판정을 더 많이 받았는데요.<br /><br />인증뿐 아니라 검사 역시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농산물품질관리원이 축산물에 대한 법적인 검사 자격도, 폐기 결정 권한도 없다 보니 혼선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 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살충제 달걀 검사는 현재 이원화돼있습니다.<br /><br />친환경 인증 농장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, 일반 양계 농장은 자치단체가 맡아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농산물품질관리원, 농관원은 사실 축산물에 대한 검사 자격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축산물 위생관리법과 그 시행령을 보면 농림축산검역본부나 자치단체, 식품안전청 등에만 축산물 검사관의 자격을 부여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농관원은 친환경 인증과 관리만을 담당하고 있는 건데, 친환경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나와도 판매 중단이나 폐기를 위해선 검역본부에 성분 분석을 다시 의뢰해야 합니다.<br /><br />[농산물품질관리원 관계자 : 그쪽에 보내는 건 물건(달걀)에 대한 폐기라든가. 우리 법(친환경 관련법)에 따라 조처하기에는 법체계가 안 맞는다 말이에요. 그래서 그쪽(농림축산검역본부)에 시료를 보내주죠.]<br /><br />시료 채취부터 정보 공개, 폐기 결정이 내려지기까지 시간 지연과 혼선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[자치단체 관계자 : 거기서 검사 결과가 바로 나오면 판매중단 조치라든지 이런 게 빨리 들어갈 수 있었을 텐데. 2차로 검출된 시료에 대해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의뢰하다 보니 시간이 더 걸린 거죠.]<br /><br />검사 기관이 왔다 갔다 하다 보니 살충제 수치 오차도 발생합니다.<br /><br />이번에 피프로닐이 검출된 강원도 철원의 한 농가.<br /><br />처음 농관원은 kg당 0.056mg의 피프로닐이 검출됐다고 발표했지만, 검역본부 검사 결과 수치가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피프로닐의 경우 국내 사용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기관별로 2.5배 이상 수치 차이가 나는 겁니다.<br /><br />민간 인증 업체와의 유착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늑장대처를 부추긴 농산물품질관리원,<br /><br />몇 배 더 비싸게 주고 친환경 인증 달걀을 산 소비자들의 신뢰를 져버렸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YTN 지환[haji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82016040205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