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최근 생리대의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면서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는데요,<br /><br />가격을 비교해 봤더니 우리나라 제품이 미국이나 일본보다 두 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이하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5월, 학교를 일주일 동안 결석할 수밖에 없었던 한 소녀의 이야기가 인터넷 사이트에 소개됐습니다.<br /><br />생리가 시작됐는데 생리대를 살 돈이 없어 수건을 깔고 가만히 누워 있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후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신발 깔창이나 수건을 대신 이용했다는 다른 충격적인 사연까지 전해지면서 생리대 가격 논란은 더욱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04년, 정부는 생리대가 생활필수품이란 점을 고려해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여전히 다른 나라에 비해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 1개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 기준으로 331원이었지만, 일본과 미국은 181원, 프랑스는 218원입니다.<br /><br />가격 상승률도 다른 품목보다 높습니다.<br /><br />2010년 7월과 비교해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는 13% 정도 상승했지만, 생리대는 26% 넘게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소비자물가의 2배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제품 가격은 올랐지만 펄프와 부직포 등 중요한 원료 가격은 오히려 떨어졌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[서영교 / 무소속 의원 : OECD 국가 중 가장 비싸다고 할 수 있는데요, 업체는 고급 펄프나 부직포를 써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지만 변명이라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안전성에 대한 불안감도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최근 위해성 논란이 불거진 '릴리안 사태'로 부랴부랴 시중에서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정밀 조사에 들어갔지만,<br /><br />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현재 품질 검사 기준에 포함돼 있지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대용품인 탐폰이나 생리컵 등은 국내에서 많이 쓰이지 않거나 아직 시판되기 전이어서 생리대의 가격과 안전성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이하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2722141722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