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주환 / YTN 정치·안보 전문기자<br /><br /> <br />한동안 핵실험 그리고 잇단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서 한반도를 크게 긴장시켰던 북한. 요즘은 의외로 조용합니다. 하지만 중국이 오는 18일에 중국에서 큰 정치행사가 남아 있어서 이 기간을 즈음해서 추가 도발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합니다. 자세히 분석을 해 보겠습니다. 김주환 YTN 정치안보 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<br />저희가 북한 관련해서 핵 도발, 미사일 도발. 몇 주 간격, 빠르면 한 주 간격으로 계속해서 보도를 했었는데 요즘은 비교적 조용해요. 그게 어느 정도 지났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한 3주, 그러니까 지난달 핵실험 이후에 9월 3일 6차 핵실험을 했죠. 그 이후로 사실상 굉장히 침묵하고 있다 이렇게 봐야 되겠죠. 여러 가지 내부 사정도 있을 것 같고 그리고 볼 때는 어떤 미국을 이슈로 해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 군사적 압박 강화 이 부분에 대한 후폭풍을 좀 걱정하고 두려워하지 않느냐 이런 이유 때문에 3주 이상 조용하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.<br /><br /> <br />지금 조용하다고 했는데 그 조용하다는 징후가 저희가 미사일 도발이나 핵실험을 안 하는 것도 그렇지만 또 다른 징후들도 있습니까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사실 과거 지금까지 북한의 1차 핵실험이 2006년도에 있었는데 그때 2005년도에 자신들이 핵폭탄을,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라고 주장을 했었어요. 그 당시에 안 믿었죠, 물론. 그런데 그런 형태의 움직임이 대형 도발을 할 때 항상 사전 징후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6차 핵실험 이후로부터 백두산 주변의 지진이라든가 국제사회의 강한 압박, 이런 영향 때문인지 관영매체를 통해서 대미 비난 강도라든가 국제사회를 향한. 그리고 우리가 어떠어떠한 행동을 하겠다. 그리고 이런 부분에 대해서 의외로 좀 조용한 편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지난달에 리용호 외무상이 UN총회에서 기자회견 형식으로 해 가지고 자신들 나름대로 응징하겠다, 이런 말폭탄을 했는데 그것도 역시 사그라들었죠. 그 이유 중 하나는 지난달 23일날 미 전략폭격기가 동해를 넘어서 북한 국제공역까지 비행을 했고요. 그리고 지난 12일었죠. 과거에 주간에 날아오던 B-1B 폭격기가 처음으로 공대지미사일 발사훈련을 했어요. 재즘이라고 하는 것, 800km 날아가는데. 이것이 제주상공에서 평양을 타격할 수 있다.<br /><br />이것은 미국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1418164089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