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정원 적폐청산 수사 과정에서 변호사에 이어 지난 6일 현직 검사까지 잇달아 목숨을 끊으면서 검찰의 적폐청산 수사 방식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무일 검찰총장은 수사팀에 인권보장과 신속수사를 지시하며 조직 추스르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울중앙지검이 과거 정권을 대상으로 하는 적폐청산 수사는 모두 16건.<br /><br />우선 국가정보원 수사팀인 2차장 산하에서 민간인 댓글 부대와 방송장악 시도, 군 사이버 사령부의 정치개입사건 등을 수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수수사를 담당하는 3차장 산하에서도 국정원의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과 보수단체 불법 지원 등에 대한 수사가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서울중앙지검 전체 검사의 40%인 97명이 투입돼 사실상 올인하고 있는 셈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국정원 정 모 변호사에 이어 지난 6일 변창훈 검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자 적폐 수사 방식이 지나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문무일 / 검찰총장(6일) : (일각에서는 강압 수사 때문에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…) 정말 비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. 고인과 가족 여러분께 마음 깊이 애도를 표합니다.]<br /><br />특히 전형적인 강골 스타일로 알려진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의 밀어붙이기식 수사방식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검찰이 아침부터 변 검사의 집에 들이닥쳐 자녀들이 보는 앞에서 압수수색했다는 등 유족들이 반발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 섭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현직 검사장 등 나머지 4명의 영장이 모두 발부될 정도로 불법 행위가 심각했던 만큼 적폐 수사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는 검찰 내부의 의견도 팽팽합니다.<br /><br />검찰 안팎에서 동요 조짐이 보이자 문무일 검찰총장은 윤 지검장에게 인권보장과 신속수사를 지시하는 등 진화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수사팀은 그동안 해 오던 수사를 철저하게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비극적 사건이 잇따르면서 수사 속도와 방식의 완급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111105280736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