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정부가 그동안 지자체들이 벌여온 무분별한 대형 국제행사 유치전에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비용을 법적 구속력 있게 통제하고 이를 위반하는 지자체엔 재정 손실의 책임을 물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혈세를 낭비하는 묻지마식 국제행사 유치가 좀 줄어들까요?<br /><br />보도에 김상익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09년 전라남도는 민간자본 조달을 약속하면서 포뮬러원을 독자 유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게 여의치 않자 중앙정부에 경주장 건립 예산 880억 원을 요구해 그 중 528억 원을 받아냈습니다.<br /><br />2014년 인천아시안게임도 당초 국고 지원액은 2,651억 원이었지만 나중에 3천3백억 원이 추가 투입됐습니다.<br /><br />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, 2015년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도 모두 국고가 1,000억 원 이상 추가로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지자체가 일단 대형 국제행사를 유치한 뒤 정부에 손을 벌리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, 2014년 개최권 반납한 전라남도의 F1 누적 적자는 1,900억 원에 달하고, 인천의 채무는 무려 3조 원을 넘어 '재정위기 주의단체'로 지정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사정이 이렇자 정부는 앞으로 지자체가 올림픽이나 엑스포 등 대형 국제행사를 유치하기 전에 반드시 중앙정부와 협의하는 것을 의무화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'재원 조달 방안'이나 '시설 사후관리' 등에 대해 지자체와 협약을 맺고 이를 위반할 경우 재정 손실의 책임을 물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추가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를 위해선 각종 '지원 특별법'을 만들어 중앙정부에 국고 지원을 압박하는 국회의원의 행태부터 뿌리 뽑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간 국가행사라는 명분으로 '국민 혈세'를 함부로 쓰던 일부 지자체들의 무책임한 관행에 제동이 걸릴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익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61706483047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