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브렉시트, 즉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비상대응 체제를 가동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경제가 과거 여러 차례 위기를 겪으면서 충분한 대응력을 갖추고 있다는 분석이지만, 다른 유럽 국가의 추가 탈퇴 등 변수가 많은 만큼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김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4일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국내 증시는 3% 이상 폭락세를 보이고, 원·달러 환율은 2.6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단 하루 만에 세계 증시의 시가 총액이 2,440조 원이나 증발하는 등 세계 금융시장도 충격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런 상황 변화에 우리 경제가 대응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[임종룡 / 금융위원장 : 대외 건전성 측면에서 세계 7위 수준의 외환보유고를 유지하고 있고, 단기 외채 비중도 2008년 금융위기에 비하면 절반 이하 수준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.]<br /><br />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결정됐지만, 탈퇴 조건 협의와 회원국 동의 절차 등 최소 2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그러나 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다른 유럽연합 국가들의 추가 탈퇴 이슈가 부각될 경우 세계 시장의 불안요인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중장기적인 대응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모든 경제 상황을 염두에 둔 신속한 대응체계가 구축됩니다.<br /><br />[유일호 / 경제부총리 : 선제적으로 국내외 경제 상황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, 관계 부처와 합동점검반을 신속히 구성해 대응했습니다.]<br /><br />또, 대외 위험성이 커질 것에 대비해 과감한 시장안정 조치와 유동성 확보를 통해 시장 안정화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경제 상황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과 오해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 외국 투자자와 신용평가기관 등 시장 참가자들과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특히, G20과 한중일, 국제금융기구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금융 안정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62622071103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