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해와 올해 초에 이어 또 C형 간염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하면서 C형 간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C형 간염은 심한 경우 피부나 눈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이 없어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<br /><br />임상호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11월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서 주사기 재사용으로 C형 간염이 집단으로 발병해 96명이 C형 간염에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초 강원도 원주시 한양정형외과의원에서도 435명이 C형 간염 항체 양성으로 나타난 데 이어 이번에 또 서울에서 C형 간염 집단 감염이 발생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 등 체액으로 감염됩니다.<br /><br />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는데 급성 C형 간염은 감기몸살 증세가 서서히 진행되고 메스꺼움과 구역질, 식욕부진과 오른쪽 복부 위쪽에 불쾌감이 나타납니다.<br /><br />만성 C형 간염은 증상이 전혀 없어 우연히 발견되거나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나타납니다.<br /><br />C형 간염의 진단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나 혈액 검사, 간 기능 검사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치료는 급성 간염의 경우 안정을 취하고 고단백 식이요법을, 만성 간염 역시 안정과 식이요법,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게 됩니다.<br /><br />[이재갑 /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: 최근에는 항바이러스제들이 많이 개발됐고 상당히 효과 좋은 약들이 많이 나와서요. 지금 현재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함으로써 치료를 하고 있고요.]<br /><br />C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이 없어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<br /><br />주사기는 반드시 1회 용을 쓰고 헌혈과 수혈 과정에서는 안전하게 혈액을 관리하고 혈액에 오염될 수 있는 모든 물건이 간염을 확산할 수 있어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.<br /><br />YTN 임상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82318015521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