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YTN은 앞으로 사흘 동안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구조의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첫 번째 순서로 정부 예상보다 심각한 저출산 현상에 대해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인구 감소 시점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최소 4년 더 빨라져 2027년쯤 인구 정점을 찍은 뒤 인구가 줄기 시작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통계청은 장래 인구를 예측할 때, 출산율과 기대수명 등을 수준별로 나눠 30개 시나리오로 제시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가장 평균적인 예측치인 '중위 추계'를 바탕으로 연금·건강보험 등의 재정 지출 계획을 짜게 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말 중위 추계에 따르면 올해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합계 출산율은 1.2명.<br /><br />그런데, 실제로는 여기에 훨씬 미치지 못합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올해 상반기 출생아 수가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18만8천 명입니다. 이 추세면 올해 합계 출산율은 역대 최저인 1.03명(이 될 전망입니다.)]<br /><br />정부가 정책 판단의 근거로 삼았던 인구 변화 예측치가 틀렸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[조영태 /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: 2015년 2014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오르는 편이었거든요. 그러다 보니 앞으로도 출산율이 확 떨어지기보다 오히려 반대로 조금씩 올라갈 거라는 가정을 하게 된 거죠.]<br /><br />통계청 관계자 역시 현재 상황을 반영하면 인구 변화 시나리오 가운데 출산율을 최소 수준으로 놓은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따르면 국내 인구는 오는 2027년 5천2백만 명을 정점으로 다음 해부터 줄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애초 정부 정책 근거였던 시나리오보다 인구 감소 시점이 4년 앞당겨진 겁니다.<br /><br />특히, 저출산에다 고령화가 겹치면서 인구 구조 역시 급격하게 변하게 됩니다.<br />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저출산으로 인구가 감소하면 내수 시장이 위축돼 경제성장률 저하 현상이 발생합니다. 인구 구조가 고령화됨에 따라 (소비나 투자보다) 저축이 늘어나면서 경제 전반의 활력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]<br /><br />의학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정부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나 고령 인구가 더 많아질 거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인구 변화 속도를 너무 안이하게 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00705405645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