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최근 들어 러시아의 '북한 감싸기'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인터넷 접속망을 러시아 기업이 도와주도록 나서는가 하면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의도적으로 축소시키려는 의도를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동안 중국의 통신기업 차이나 유니콤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했던 북한이 최근 러시아를 통한 새로운 인터넷망을 추가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달 들어 "북한이 러시아의 트랜스 텔레콤을 통해 인터넷을 접속하기 시작했다"고 미국의 자유 아시아 방송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사이버 공격이 이뤄질 경우 러시아가 도발로 간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최근 들어 미국에 대항하는 러시아의 목소리가 부쩍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홍현익 / 세종연구소 ; 핵 문제에 있어서 러시아는 중국보다 훨씬 더 강대국이죠. 핵무기 5천 개 이상을 갖고 있고, 푸틴 대통령의 국제적인 위상이 시진핑보다 결코 못지않거든요.]<br /><br />지난 7월 28일 북한이 발사한 화성-14형에 대해 미국 등은 ICBM급이라고 발표했지만, 러시아는 중거리 미사일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던 것이 단적인 사례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북한에 미사일 발사 자제를 요청하면서도 미국에 한미 군사훈련 축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전체 잠수함 75척 가운데 24척을 태평양함대에 배속시켜 놓고 있는데,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해군력 증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2020년대 중반까지 15,000톤 규모의 핵추진 구축함 12척을 실전배치하겠다고 밝힌 러시아는 이 가운데 6척을 태평양함대에 배치하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신형 구축함에는 최대 2백여 기의 미사일 탑재가 가능한데, 적의 ICBM이나 SLBM을 요격하는 미사일이 대거 포함돼 '바다의 사드'라는 별칭을 갖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북한 내 원유 공급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러시아가 미국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강화할수록 이는 결과적으로 북한 감싸기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0422324314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