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신범철 / 국립외교원 교수<br /><br />[앵커] <br />점점 완성단계로 치닫고 있는 북한 미사일 자세하게 분석하겠습니다. 조한범 통일연구원원 선임연구위원,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초대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북한이 미사일을 쏠 때는 첫 번째 어떤 시점 상 이게 필요하다고 해서 도발을 하는 경우가 있고. 또 하나는 기술적인 완성 단계에서 꼭 필요하기 때문에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늘 미사일은 어느 쪽에 속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저는 두 가지 다 있다고 생각합니다. 지금 북한이 자기들 미사일 능력의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었거든요. 그래서 몇 차례 실험이 필요할 겁니다. 그런데 때마침 자기들이 안보리 결의에 대응해서 김정은도 이야기했듯이 거기에 대한 대응 조치를 할 것이라고 이야기했기 때문에 뭔가 대응하는 모습도 보이고 그러면서도 기술적으로 자기들의 모자란 부분, 재진입이라든가 이런 부분을 테스트하는 두 가지 목적이 다 있었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조 박사님은 어떤 것이 이번 미사일의 제일 중요한 의미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먼저 신 선생님 말씀처럼 정치적인 목적, 기술적 목적 다 있겠지만 그러나 전반적으로 봤을 때 이번의 경우는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. 북한의 입장에서는 지금 고강도의 UN대북제재 2375호가 발효가 됐거든요.<br /><br />그럼 김정은 입장에서는 도발과 위협, 긴장의 고조를 통해서 협상을 유지해 나가고 대내적으로도 결속력을 유지하는 리더십이거든요. 그렇게 보면 강력한 제재에 자신이 굴복하는 모습을 보일 수 없죠. 그렇기 때문에 강대강의 국면을 유지를 했다라고 보여지고요. 다만 그렇지만 이번에 물론 일본 열도를 넘어가는 중거리미사일로 보이기 때문에 저강도 도발은 아닙니다.<br /><br />그러나 6차 핵실험이나 ICBM급, 당장 미국에서도 미 본토에는 영향이 없다라고 발언한 것처럼 그러니까 적정 수준의 도발을 통해서 긴장을 유지하고. 협상의 국면을 자신이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려고 했다고 볼 수 있고요.<br /><br />다만 한 두 가지 정도가 더 의미가 있다고 보여지면 일단 이미 보도가 됐습니다마는 사거리상으로 봤을 때 충분히 괌을 타격할 수 있다, 그다음에 두 번째는 순안공항에서 쏘는 이유는 순안공항 내륙에서 쏘게 되면 일본 열도를 넘어갈 때 일본이 가지고 있는 SM-3의 고도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1514564508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