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2030년 우리나라 전력 수요가 2년 전에 세웠던 전망치보다 무려 10%나 줄어들 것이란 예측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발전소 증설의 근거가 되는 전력 수요 전망치가 갑자기 큰 폭으로 낮아지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꿰맞추기식 전망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양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에너지 전문가들로 이뤄진 '수요 전망 워킹그룹'이 향후 10여 년에 걸친 전력 수요 전망치 초안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이 초안은 2030년의 국내 전력 수요를 101.9GW로 전망해 2년 전에 내놨던 전망치 113.2GW보다 11.3GW 10%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장기 전력 수요 전망이 2년 만에 크게 바뀐 것은 극히 이례적으로 이번에 줄어든 수요량 11.3GW는 원전 11기의 생산량에 해당하는 전력량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초안은 정부가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2년마다 세우는 장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첫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킹그룹의 초안에 맞춰 발전소 증설계획을 다시 짠다면 신규 원전과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의 축소나 취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수요전망 워킹그룹은 전력 수요 급감의 근거로 저성장 기조에 접어든 우리 경제 구조를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워킹그룹은 2년 전 수요 예측은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3.4%로 봤지만 이번에는 2.5%로 낮춰 잡았다고 밝히고 저성장 시대의 전력 수요 패턴은 다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그동안 매년 높아져 왔던 최대 전력 사용량이 어떻게 갑자기 낮아질 수 있느냐고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이번 초안에 정부의 탈원전 정책 의지가 반영된 것 아니냐 하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특히 초안은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변화와 전통적으로 전기를 많이 필요로 하는 반도체나 철강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특징 등을 반영하지 못했다고 밝히고 경제성장이 둔화된다 해도 전력 사용량이 급감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신고리 원전 5,6호기 공사 중단을 계기로증폭되고 있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논란은 정책이 가시화될수록 더욱 가열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양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150714129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