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변화하는 해양 생태계...눈에 띄는 아열대 해양 생물 / YTN

2017-11-15 1 Dailymotion

[앵커]<br />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는 가운데 우리 바다에서 전에 볼 수 없었던 아열대 생물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발견만으로 우리 바다가 아열대화로 접어들었다고 단정하긴 이르지만 변화하고 있는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해 대응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목소리입니다.<br /><br />김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코브라과 맹독성인 '넓은띠큰바다뱀'입니다.<br /><br />출몰 소식을 들은 강원대학교 박대식 교수팀이 지난 2015년 4월부터 제주와 남해안 주요 항구에 벽보를 붙이고 전단을 뿌려 어민들에게서 12마리를 확보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전에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기록이 없어 유전자를 살폈더니 아열대 지역인 일본 류큐 열도와 대만 해역에서 나타나는 유전자형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서는 자세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[박대식 /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교수 : 제주도나 남해안 지역 해수 온도 상승으로 (해류를 타고 온) 바다뱀이 적어도 우리나라에 와서 생존하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관찰 빈도가 증가하지 않았을까 (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.)]<br /><br />배 속에 있는 먹이까지 보이는 투명 물고기는 해파리고둥으로 추정되는 이족류입니다.<br /><br />따뜻한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인데 얼마 전 수온이 비교적 낮은 우리 동해에서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[한창훈 / 국립수산과학원 박사 : 이게 쿠로시오 난류를 따라서 외부에서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종으로 저는 추정합니다.]<br /><br />이 밖에도 거제도에서 발견된 파란고리문어와 부산 앞바다에서 나온 산호초 등 전에 볼 수 없었던 생물의 출현은 우리 바다가 아열대화하고 있다는 증거로 인식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발견된 몇 가지 해양 생물만 가지고 우리 바다가 아열대화로 접어들었다고 단정적으로 볼 수 없다는 게 전문가 판단입니다.<br /><br />지난 48년 동안 바다 표층수 온도가 1.11℃ 상승했지만 동시에 생물의 적응력 문제와 관찰 빈도의 차이 등으로도 전에 보기 힘들었던 생물이 더 자주 우리 바다로 오고 더 자주 목격된다고 판단할 수도 있어서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우리 바다에서 사는 생물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문제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서영상 /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장 : (해양 생물이) 어른 단계보다 어린 단계에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과학적으로 자세히 조사해서 기후 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63007223998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