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세계 경제를 움직이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중앙은행 수장들이 하루 간격으로 긴축을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글로벌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경제의 돈 줄 조이기가 속도를 내면 우리나라의 대출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유럽중앙은행의 마리오 드라기 총재는 현지시각 지난달 27일 물가하락 위협은 사라졌으며 대신 '리플레이션' 압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리플레이션은 물가 하락에서 벗어나 과도한 물가 상승까지 이르지 않은 상태를 뜻하는 말입니다.<br /><br />드라기 총재의 발언은 유럽중앙은행이 매달 600억 유로의 국채를 사들이는 양적 완화 규모를 축소하려는 것으로 금융시장은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재닛 옐런 의장도 우리 생애에 금융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발언했는데 시장에서는 역시 긴축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의 마크 카니 총재도 현지시각 지난달 28일 경기 개선 시 일부 경기 부양책의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 그리고 유로화 사용 19개 나라인 유로존의 중앙은행 수장들이 하루 간격으로 긴축을 시사하고 나서면서 글로벌 국채 투매가 일어나 금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6% 급등해 한 달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10년 만기 독일 국채 금리는 사흘간 무려 77.5% 폭등해 3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고 10년 만기 영국 국채금리도 3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뛰어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국채 금리 상승으로 우리나라의 대출 금리가 상승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0105164829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