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사드 때문에 깨진다면 동맹이 아니다, 한미연합 훈련도 축소할 수 있다는 문정인 대통령 특보의 발언에 미국의 속내는 불편해 보입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한미정상회담에서 양측이 잠재적 갈등을 어떻게 조율해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주 워싱턴을 방문한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대북정책과 한미동맹 현안에 대해 작심한 듯 거센 발언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사드 환경 영향평가는 1년 이상 걸리지만 국내법상 반드시 필요한 절차임을 강조했고,<br /><br />[문정인 /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: 주한미군도, 한국 대통령도 한국법 위에 있을 수 없습니다. 문재인 대통령이 법을 어긴다면 탄핵의 대상이 될지도 모릅니다.]<br /><br />북한의 도발 중단을 전제로 한미연합훈련 축소 가능성과 대화 추진 의지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문정인 /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: 북한이 비핵화하지 않으면 대화하지 않는다? 그것을 대한민국 정부가 어떻게 수용해요? 기본적으로 북한이 도발하지 않으면 우리가 대화할 수 있으면 대화해야죠.]<br /><br />북한의 비핵화가 대화의 전제 조건이라는 미국 정부 입장과는 배치되는 겁니다.<br /><br />개인적 견해임을 내세웠지만 대통령 특보라는 위치에서 문재인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미국 조야의 반응을 떠본 것으로도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는 논평을 통해 한국 정부의 공식 정책이 아닌 문 특보의 사견으로 본다며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불편한 속내는 곳곳에서 감지됩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국무, 국방 장관과 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국의 사드 배치 논란에 격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를 비롯한 미국 언론들은 북한에서 혼수상태로 송환된 오토 웜비어를 거론하며 대화보다 제재와 압박을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진보 정권과 미국의 보수 정권 사이 대북 정책 갈등을 어떻게 조율해 갈지 다가오는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더욱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61905554196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