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비용을 재협상할 수도 있다는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발언에 대해 국방부는 사드 비용은 재협상 사안이 될 수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특정 무기체계의 재협상은 방위비 분담금 협상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주환 기자!<br /><br />우리 정부가 미국의 사드 배치 비용 재협상 방침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밝혔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국방부의 입장은 사드 배치 비용은 재협상 사안이 될 수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비용 분담 문제는 한미간 합의 사항이고 SOFA, 주한미군지위협정 규정에도 명시되어 있는 내용이라며 이같이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문상균 대변인은 특히 특정 무기 운용 비용은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는 별개의 문제라고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추후 방위비 분담금 협상을 하더라도 주한미군의 한반도 방위 기여도, 우리의 재정부담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책정되도록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문 대변인은 사드 배치 비용에 관한 국방부의 입장은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같은 입장이라고도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한미 간 사드 합의는 재협상이 있기 전까지 유효하다는 맥 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인터뷰 내용에 대해, 한미 간 기존협상이 유효하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또 다른 군 관계자는 성주에 배치된 사드는 미군의 자산이며 SOFA에 따라 한국이 부지와 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운영은 미국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국방부가 강조하는 것은 주한미군지위협정, 제5조 2항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 조항에는 주한미군 시설과 경비만 한국 측이 부담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내용이 지난해 한미가 작성한 사드 배치 관련 양해각서에도 분명히 포함되어 있다고 국방부는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50111443029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