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대선을 치르는 데는 수백억에 이르는 돈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정당과 후보가 모두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국가가 그 비용을 보전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사흘 뒤에는 선거보조금이 각 정당에 지급되고, 대선이 끝난 뒤엔 추가로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 여기엔, 조건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그 조건 때문에 대선을 완주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데, 염혜원 기자가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이번 주말이 지나면 대선주자들은 본격적인 선거 운동에 돌입합니다.<br /><br />후보 등록 이후 17일의 각 당 의석수를 기준으로 선관위는 18일에 선거보조금을 지급합니다.<br /><br />가장 의원 수가 많은 더불어민주당은 124억 원, 자유한국당은 120억 원, 국민의당 87억 원, 바른정당 63억 원, 정의당 27억 원을 받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이 돈이면 선거를 치르기에 충분할까요?<br /><br />5년 전 18대 대선만 봐도 이보다 3~4배는 더 썼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인건비와 선거 유세비용입니다.<br /><br />유세 차량 1대 빌리는 데만도 2,500만 원 정도가 들고요.<br /><br />거리에 내거는 현수막에다가 유권자들의 집집 마다 보낼 광고 전단도 3천만 부 넘게 찍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고 선거비용을 무한정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.<br /><br />선관위가 정한 이번 대선의 선거비용은 509억 9,400만 원까지입니다.<br /><br />더 많이 쓰면 당선 무효입니다.<br /><br />이 한도 안에서 쓴 비용은 선거가 끝나면 국가가 보전해 줍니다.<br /><br />단, 일정 수준 이상의 표를 얻어야 합니다.<br /><br />득표율이 15%를 넘으면 선거비용 전액을, 10~15% 사이면 절반을 보전받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면,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합니다.<br /><br />지지율이 높은 후보들은 사실 큰 걱정이 없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지난 2012년 선거비용으로 485억 원을 썼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400억~450억 원 정도를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보수 진영 후보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도 문재인, 안철수 후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산을 잡긴 했지만 현재 지지율 만큼만 득표할 경우 빚더미에 앉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사를 담보로 받은 대출금만 해도 250억 원이나 됩니다.<br /><br />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아예 백억 원 이하만 쓰도록 허리띠를 졸라맨다는 계획입니다.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41522173316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