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북한의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,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번째 미중 정상회담이 이번 주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립니다.<br /><br />미중 간 통상 문제와 환율 문제 등 양국 간 현안도 많아서 북한의 추가 핵실험을 막을 수 있을지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 회담은 앞으로 4년 동안 미중관계를 규정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전 세계 초특급 관심 대상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우리 관심사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 두 정상이 어떤 대화를 나눌 것인지에 쏠려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북한에 대해 제대로 제재를 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자주 표명했고, 백악관 관리들도 북핵 문제가 외교 안보 사안에서 우선 순위에 있다고 자주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[숀 스파이서 / 美 백악관 대변인 : 미국은 중대하고 점증하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과 협력해 새로운 외교, 안보, 경제적 조치를 모색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그렇지만, 북핵 문제가 미국과 중국 간 통상 질서 재조정이나 환율 문제, 남중국해 문제 등에 비해 더 큰 관심을 얻을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취임 이후 국정 지도력에 상처를 입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이미지 개선을 위해 시진핑 주석을 압박해 경제 분야에서 실질적인 양보를 얻어내는 것에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시진핑 주석도 경제나 통상 면에서 트럼프 대통령 체면을 지켜주면서 외교와 안보 등 다른 분야에서 반대급부를 챙길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그런 만큼 북핵 문제에 대해선 오히려 시 주석이 대화와 협상을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 설득에 나설 것이 확실시됩니다.<br /><br />결국 철저한 대북 제재와 압박 기조를 유지하면서도, 대화와 협상도 병행해야 한다는 중국 입장도 거론하면서 두 정상이 절충점을 택할 가능성도 있어서 조기 대선 이후 우리 차기 정부의 대북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40205334815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