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장창두 /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, 박소정 / YTN 경제부 기자<br /><br />[앵커] <br />세월호 침몰 3주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오늘 아침 10시부터 사고해역에서는 세월호 시험 인양이 시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4월 16일 이후 3년 만입니다. 장창두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 그리고 경제부 박소정 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앵커] <br />모두가 세월호 인양작업을 숨직이며 지켜보고 있는 상황인데요. 오늘 중 인양이 되는 건가요, 어떻게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 <br />현재로서는 장담하기 쉽지 않습니다. 해수부가 5시 반에 브리핑을 했는데요. 앞서 현장 기자도 전해 주었지만 5시 반에 브리핑 상황에서는 오후 3시 반까지 1m를 바닥에서 들어올렸다고 말했거든요.<br /><br />3시간 동안 1m를 들어올렸습니다. 그리고 현재 그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. 균형이 아직 맞지 않아서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거든요.<br /><br />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그 작업과 잠수부가 직접 들어가서 육안으로 살피는 작업까지 완료가 모두 다 되면 그다음에 들어올리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만약에 현재 이 상황에서 실제로 인양이 시작된다면 빠르면 오늘 밤 자정쯤에는 세월호 머리가 조금씩 나오기 시작하지 않을까 기대할 수 있겠지만 또 상황이 맞지 않는다면 다시 내려놓겠다고 했습니다. 따라서 정말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<br /><br />[앵커]<br />지금 1m가 뜬 상태인 것 같아요. 설명을 해 주시겠습니까, 장 교수님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배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게 바닥에 붙어버리게 되면 부력이 작용하지 않습니다. 부력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윗부분하고 아랫부분의 압력차이거든요.<br /><br />그러니까 밑에 수심이 깊으면 압력이 더 크기 때문에 밀어올리는 힘이 그게 부력인데 이렇게 붙어버리면 부력이 작용 안 하고 오히려 수압이 작용해서 훨씬 무거워집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 세월호가 6800톤에 화물 무게 삼천 몇 백 톤, 한 1만 톤인데 실제 붙어버리면 훨씬 더 떼는데 힘이 듭니다. 그렇기 때문에 뗄 때 가장 힘든데 1m를 뗐다는 것은 1단계는 잘 넘긴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그 대신 각 장력들이 33개의 리프팅빔에 2개씩 연결하면 66개, 66개의 와이어의 장력을 균형을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죠. 그래서 아마 각 장력들을 조정하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32218010451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