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미국이 현지 시간으로 15일, 우리 시간으로 16일 새벽쯤 예상보다 빨리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한국은행도 대책 마련에 분주해졌습니다.<br /><br />통화정책이 진퇴양난에 빠졌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이를 돌파하기 위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이 다시 한 번 강하게, 시장에 기준금리 인상 신호를 던졌습니다.<br /><br />[재닛 옐런 /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: 연준은 물가와 고용 지표가 예상과 맞는지 평가할 겁니다. 기대를 충족한다면 추가적인 금리 조정이 적절할 겁니다.]<br /><br />인상 시기를 오는 6월 정도로 내다보던 시장은 즉각 반응했습니다.<br /><br />1,130원대였던 원·달러 환율은 1,150원대로 급등했고, 코스피 시장에서 자본도 단기간 내 빠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금리 인상이 생각보다 더 빠를 경우 한국 시장에서의 자본 유출은 가속화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더는 팔짱만 낄 수 없게 된 한국은행도 지난 6일 임원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데, 여기에 찬물을 끼얹고 싶지 않은 것이 한국은행의 속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(지난달 23일 기자간담회) :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, 앞으로 통화정책은 완화 기조를 유지해나갈 것이라는 게 저희 통화정책의 기본 방향으로….]<br /><br />경기를 살릴 수 있다는 확신이 없는 만큼 금리를 내리기도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벌써 8달 연속 연 1.25%, 역대 최저 금리지만 시중에는 돈이 잘 돌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성태윤 /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실제 경제주체들이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를 형성하도록 하는 데 실패했던 것으로 생각되고요. 그로 인해 통화정책의 효과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됩니다.]<br /><br />미국이 자국 상황에 맞게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사이, 우리의 통화정책은 갈 길을 잃은 것 아니냐는 시장의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최민기[choim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1305040799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