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미국이 현지시각으로 15일, 우리 시간으로 모레 새벽쯤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이는데 올해 기준금리를 3차례 이상 올릴 경우 달러 빚이 많은 신흥국은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.<br /><br />신흥국 가운데서도 기업의 부채 비율이 높은 편인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.<br /><br />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의 부채가 급속도로 늘어난 것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입니다.<br /><br />달러 투자금이 신흥국으로 유입되면서 재작년 말 기준 부채가 62조 달러로 불어났습니다.<br /><br />신흥국 전체 GDP의 2배가 넘고 세계 부채의 40%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정부 부채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바로 기업 부채입니다.<br /><br />BIS, 국제결제은행은 신흥국 기업들의 달러 부채 가운데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부채가 우리 돈으로 14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분기 기준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신흥국은 200%가 넘는 홍콩입니다.<br /><br />이어 중국이 160% 이상이고, 한국도 100% 이상입니다.<br /><br />예상대로 미국이 올해 3차례 이상 금리를 올릴 경우 신흥국 기업들의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미국의 3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이미 시장에 반영되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예상대로 미국이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 경우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진평 / 삼성선물 연구원 : 달러 표시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경우에는 원금 상환 부담이나 원금 상환 이전에라도 이자 상환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미국의 금리 인상과 중국의 '사드 보복'이라는 외부 악재가 겹친 가운데 특히 심각한 정치 불안을 겪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다른 신흥국에 비해 대응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대건[dg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1405481670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