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중국의 이른바 '사드 보복'은 이미 지난해 7월부터 시작돼왔습니다.<br /><br />주로 문화와 관광, 무역 등 민간 차원에 집중돼왔지만 정부 차원에서도 실질적인 행동에 나설 경우 외교와 군사 분야 등 전방위적인 보복 조치가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중국이 어떻게 보복 강도를 높여왔는지, 임장혁 기자가 되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7월, 한미 당국이 사드 배치를 공식 결정하자 중국 정부는 즉각 보복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[루캉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중국은 우리의 합리적 이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단호하게 취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이 경고 직후 한국 연예인 수지와 김우빈의 중국 팬 미팅이 느닷없이 취소되고 유인나의 드라마 촬영도 갑자기 중단됐습니다.<br /><br />이후 드라마와 영화, K-POP 할 것 없이 공연취소와 출연정지, 광고모델 계약 해지 등의 조치가 한류스타들에게 일제히 가해지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[쇼핑몰 납품업자 : 올해 초까지만 해도 한국 연예인을 이용해서 제품 홍보를 하면 플랫폼에서 제품을 더 많이 노출해줬었는데 사드 이후에는 한국 연예인을 써도 제품을 더 홍보해주는 그런 메리트는 없어졌습니다.]<br /><br />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 달도 되지 않아 관광업계에도 먹구름이 덮쳤습니다.<br /><br />한중 축구경기를 보려던 중국인 관광객 3천 명이 방한 일정을 없던 일로 하더니, 한국 관광 예약이 줄줄이 취소 사태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까지 체결된 11월부터는 무역과 기업에 대한 보복도 본격화됐습니다.<br /><br />전기차 배터리와 조제분유, 설탕과 인삼 등 수많은 품목에 대한 중국의 수입기준이 강화됐고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대해 세무조사 등 전방위 압박이 시작된 것도 이 무렵입니다.<br /><br />한국행 전세기 운항 불허와 크루즈선 대폭 축소, 화장품 대량 반품, 한국 예술인들에 대한 비자발급 거부, 한류 동영상 인터넷 차단 등의 조치가 지난 2달여간 쉴새 없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중국 당국자의 이른바 '뒷감당' 발언은 앞으로가 더 문제임을 가늠케 합니다.<br /><br />[겅솽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우리의 안전 이익을 지키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할 것입니다. 이로 인한 모든 뒷감당은 한·미가 져야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사드 보복 강도가 더욱 높아지는 동시에 외교 안보 등으로까지 범위를 넓혀갈 것으로 우려됩니다.<br /><br />YTN 임장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30314094280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